감자가되

라즈베리파이4 SSD에 Ubuntu Server 24.04 LTS 설치하기 본문

라즈베리파이_Ubuntu

라즈베리파이4 SSD에 Ubuntu Server 24.04 LTS 설치하기

바보 감자 2024. 5. 29. 10:00

 

OS 선택하기

라즈베리파이는 라즈비안이라는 전용 OS가 있다.

하지만 서버를 구축하는 것이 목표이기도 하고 아무래도 접하기 쉽고 라즈베리랑 많이 사용하는 것 같은 우분투를 사용하기로 했다.

 

 

 

 

 

<Ubuntu 설치하기>

1. Raspberry Pi Imager 다운로드하기

라즈베리에 우분투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아래의 우분투 페이지를 참조할 수 있다.

 

https://ubuntu.com/download/raspberry-pi

 

https://ubuntu.com/download/raspberry-pi

 

ubuntu.com

 

 

앞에서도 말했든 나는 서버용도로 라즈베리파이를 사용할 것이기 때문에 Ubuntu 24.04 LTS 버전을 다운받기로 했다.

공식 페이지에서 볼 수 있는 지원 가능한 장치를 볼 수 있으니 설치 전에 꼼꼼하게 확인하는게 좋을 듯 싶다.

 

 

 

 

 

2. SSD에 우분투 설치

라즈베리파이 이미저를 실행시키면 이 화면이 뜬다.

 


라즈베리 디바이스는 라즈베리파이4로 설정하고 운영체제는 other general-purpose OS > ubuntu > Ubuntu Server 24.04 LTS 선택

저장소는 내 SSD 선택을 해주면 된다.

(처음에 우분투가 운영체제에 안떠서 잠깐 당황했지만, 이미저를 껐다가 키면 우분투가 있는 것을 볼 수 있으니 당황하지 말자!)

 

 

 

 

 

 

2-1. 원격 접속 환경설정하기

 

그리고 다음을 누르고 (캡쳐하는 걸 까먹었는데) 환경설정을 해줘야 한다! 이유는 원격 접속을 위해서!

 

초반에 접속을 하기 위해서 설정할게 있는데 이를 위해서 두 가지 방법을 쓸 수 있다. (서버용, 모니터x 인 나의 경우에)

첫번째는 라즈베리파이와 내 컴퓨터를 연결해줄 수 있는 HDMI 선을 사용하기

두번째는 os 설치할 때 원격 접속 설정을 해주면 된다.

이 사실을 os 설치하면서 알았기 때문에 당장 할 수 있는 원격 접속 설정을 하기로 했다.

 

 

 

 


+ hostname과 사용자 이름 및 비밀번호를 설정해주면 된다.

+ 무선 LAN 설정은 내 컴퓨터의 와이파이를 자동으로 잡아서 입력이 된 상태이기 때문에 따로 입력할 건 없다.

    그리고 찾아보다 나온 것은 무선 LAN 국가는 영어권으로 해야 오류가 안난다는 말이 있었다.

    때문에 초기값인 GB는 영국이어서 변경하지 않았다.

+ 로컬 설정은 초기값이 Asia/Seoul로 되어있어서 변경하지 않았다.

 

 

 

 

 

 

 

 

이 설정을 마치면 설치하면 된다.

 


SSD에 OS 설치는 여기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