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자가되
라즈베리파이4에서 KT GiGA Wifi Home 포트포워딩 설정하기 본문
포트 포워딩이란!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외부에서 내 라즈베리파이에 접속할 수 있게 설정하는 것이다.
조금 풀어서 말해보자면, 집에 있는 와이파이 공유기는 하나의 공인 IP 주소를 가지고 있다.
무선 와이파이를 연결한 노트북이나 핸드폰 같은 기기에도 IP 주소가 필요한데, 공유기가 각 기기에 사설 IP 주소를 부여해준다.
즉, 외부에서 내 전자기기에 접속하려면 공유기를 한 번 거치고, 공유기가 내 전자기기에게 전달해줘야 하는 것이다.
여기서 나의 라즈베리파이를 외부에서 접속하기 위해서는 공유기에게 내 라즈베리파이가 사용하는 사설 IP 주소와 포트를 알려줘야 한다. 이를 설정하는게 바로 포트 포워딩!
그러면 본격적으로 포트 포워딩 시작을 해보도록 하겠다!
1) 수동아이피 설정 과 2) 포트 포워딩 설정이 필요한데 일단 순서대로 작성해본다.
1. 일단 라즈베리파이에 SSD를 연결하고 전원을 켜준다.
2. 라즈베리파이의 사설 IP 주소를 찾아준다.
사설 아이피를 찾는 방법은 다양하지만 IP Range를 사용해서 편하게 찾았다.
사실 kt giga wifi home 에서도 찾을 수 있지만 약간 때려맞추기라 불안해서 IP Range를 이용했다.
내가 이전에 설정한 라즈베리파이 호스트 이름과 같은 호스트 이름을 찾고, 파란색으로 표시된 부분이 내 라즈베리파이의 사설 IP 주소이다.
3. 라즈베리파이에 접속해서 "ifconfig"로 mac주소 찾기
라즈베리파이에 접속했다면! 수동 ip 설정을 위해서 mac 주소를 찾아둬야 한다.
4. KT GiGa Wifi Home에 접속
참고로! KT GiGa Wifi Home은 172.30.1.254로 접속하면 된다.
기존 아이디 : ktuser
기존 비밀번호 : homehub
처음 접속하면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바꾸라고 하니 새로 설정한 아이디 비밀번호는 꼭 기억해두기!
5. 수동 IP 설정하기
장치설정 > 네트워크 관리 > LAN 연결 설정 > 수동 IP 할당 설정
여기서 타겟 mac주소, 할당 ip(저는 라즈베리파이의 사설 ip로 할당했습니다.)와 설명을 입력하고 추가를 누르면 됩니다.
수동 IP 할당 끝!
6. 공인 IP 주소를 찾아준다.
이건 포트 포워딩을 위해서 찾아두기
7. 포트 포워딩 설정하기
장치설정 > 트래픽 관리 > 포트 포워딩 설정
소스 IP 주소 : 비워둬도 됨
소스 포트 : 비워둬도 됨
외부 포트 : 외부에서 접속할 때 사용할 포트 (내부 포트와 같아도 됨)
내부 IP 주소 : 라즈베리파이의 사설 IP 입력
내부 포트 : 라즈베리파이에서 열어둔 포트
프로토콜 : TCP로 설정
설명 : 간단하게 설명하기
원하는 대로 입력한 후 추가를 누르면 아래에 리스트가 생기는 걸 볼 수 있습니다. 포트 포워딩 설정 끝!
+ 라즈베리파이 전원을 재부팅하면 바로 외부에서 바로 접속이 안되고 3~5분 정도 기다려야 할 수도 있으니까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이걸 보시는 분들은 막힘없이 포트 포워딩 설정하실 수 있기를 바랍니다.😉
'라즈베리파이_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즈베리파이4 SSD에 Ubuntu Server 24.04 LTS 설치하기 (0) | 2024.05.29 |
---|---|
라즈베리파이4로 서버 구축해보기! 필요한 준비물은? (0) | 2024.05.28 |